2024.07.01오늘 새로운 팀원들을 만났다. 내향형 분석가들 팀들과 일주일 만에 헤어지게 되어 아쉬웠지만,, 어쩔 수 없죠..프로그램에서 하라는 대로 또 참여해야 하니까 또 따라 가야지용?하지만 조큼 심장이 쿵쾅쿵쾅.. 첫 조원들이 너무 좋았던 분들이라 또 내심 긴장 되더라..그런데 다행히도 새로운 분들도 정말 좋은 분들이라는 생각이 든다.깔끔하고 진행속도도 좋은 팀워크! 또 파이썬 기초 주간 동안에 함께 잘 성장해 나아가고 싶은 마음이다!오늘하고 내일까지는 sql에 좀 더 집중을 하기 위해 파이썬 일정은 빼두었다.. 왜냐면 기본 문법만 봐서는 모르겠거든요..그래서 오늘 배운 새로운 sql 내용! 코드카타를 하며 아~ 윈도우 함수가 이렇게 많았구나! 해서 정리해본다.✳️ Window 함수window ..
2024.06.28 💡 range ( ) range(stop) range(start, stop) range(start, stop, step)start : 시작하는 숫자. 기본 값 = 0stop : 반드시 지정해줘야 하는 값으로 범위를 지정한다. 여기에 적힌 값은 포함하지 않는다.step : 각 숫자들 사이의 간격. 기본 값은 1# 0부터 5까지 숫자 생성 for i in range(6): print(i) -- 0 1 2 3 4 5 # 2부터 5까지 숫자 생성 for i in range(2, 6): print(i) -- 2 3 4 5 # 2부터 12까지 숫자 생성, 간격은 2 for i in range(2, 13, 2): print(i) -- 2 4 6 8 10 12응용 - 코드카타 9번 정수 n이 주어질..
2024.06.28💡class, object, instanceclass를 와플팬이라고 비유해보면, 똑같은 와플을 만들어 내는 '틀'이라고 생각하자. object를 정의하고 변수와 method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. 그러니까.. 이 말은 와플팬 내의 모양을 말하는거라고 생각하겠어! 격자모양, 스누피모양, 춘식이모양••• object는 와플팬으로 만들어진 와플이라고 비유해보자. 이 각 객체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. 예를 들어 2개의 와플을 만들어서 와플 한 개를 념념 하나 먹어도 남은 하나는 온전한 모양을 유지하는 것처럼 영향을 주지 않는다. instance는 class와 object가 소프트웨어에 실체화 되는 것...이라는데, 특정 객체가 어떤 클래스의 객체인지 관계를 중점으로 표현할 때 사용한다고..
2024.06.28 🔔 이 내용들은 직접 쓰는 것보단 알고 있으면 내장함수 등을 사용할 때 도큐먼트를 읽는 데 도움이 된다! 💡함수의 매개변수def cal(a, b): return a + 2 * b이런 식이 있을 때 1. 매개변수를 지정해줄 수 있다.def cal(a, b): return a + 2 * b print(cal(1, 2)) # 5순서대로 와 b에 1과 2가 들어가 계산이 된다.def cal(a, b): return a + 2 * b print(a=1, b=2) # 5이렇게 a와 b를 지정해줄 수 있는데, 자리를 바꿔줘도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값은 그대로 나온다. def cal(a, b): return a + 2 * b print(b=2, a=1) # 5바로 이렇게! 2. 매개 변수에 디폴트 ..
2024.06.28 오예 금요일이다!! 오늘은 파이썬 기초 강의를 모두 들어서 정리한다. 부족한 지식은 구글링하면서 코드카타로 연습해야지! 💡 map ()여러 개의 데이터를 받아서 각각의 요소에 함수를 적용한 결과를 반환하는 내장 함수 map(function, iterable) function : 각 요소에 적용할 함수 iterable : 함수를 적용할 데이터 집합 +연습+ # 21살 이상이면 성인, 미만이면 청소년이라는 리스트를 출력 people = [ {'name': 'bob', 'age': 20}, {'name': 'carry', 'age': 38}, {'name': 'john', 'age': 7}, {'name': 'smith', 'age': 17}, {'name': 'ben', 'age': 27..
2024.06.27 💡 if문 - 삼항연산자 num =3 if num % 2 == 0: result = '짝수' else: result = '홀수' print(f'{num}은 {result}입니다') # 3은 홀수입니다 이런 수식을 출력하고 싶다고 가정해보자. num을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면 짝수 아니면 홀수로 출력 num =3 result = ('짝수' if num % 2 == 0 else '홀수') print(f'{num}은 {result}입니다') # 3은 홀수입니다 이렇게도 쓸 수 있다!! 한 줄 매직!! 💡 for문 - 한방에 써버리기 a_list = [1, 3, 2, 5, 1, 2] b_list = [] for a in a_list: b_list.append(a*2) print(b_..
2024.06.27 💡 from 파일명 import * 혹은 함수명 만약 파일이 두 개라고 쳐보자. 복잡한 수식들을 따로 작성하고 파일을 불러와서 실행을 시켜주는 것을 해보려고 한다. 물론 예시라 복잡해보이진 않지만..ㅎ def say_hi(): print('안녕!') def say_hi_to(name): print(f'{name}님 안녕하세요^^') 이건 main_func.py에 써둔 것이다. from main_func import * say_hi() say_hi_to('냠묵') # 안녕! # 냠묵님 안녕하세요^^ main_test 파일에서 main_func.py의 식을 사용하고 싶으면 from - import를 사용해준다. * 은 모든 것을 가져온다는 것 여기서 * 대신 say_hi_to 식을 쓰면 ..
2024.06.27 💡 try - except 문 에러가 있어도 건너뛰게 할 수 있는 방법 서버에게 콜을 할 때(서버 쪽이 잘 못되었을 때) 이용할 수 있다. 하지만 남용하면... 뭔가 이상하게 돌거나 어디에 문제가 생기는지를 알 수가 없으니... 웬만하면 많이 쓰지는 말자! 만약에 리스트 중에 내가 뽑고 싶은 값이 빠져 있어서 없는 경우에 이걸 제외 시킬 수 있다. people = [ {'name': 'bob', 'age': 20}, {'name': 'carry', 'age': 38}, {'name': 'john', 'age': 7}, {'name': 'smith', 'age': 17}, {'name': 'ben', 'age': 27}, {'name': 'bobby'}, {'name': 'red', '..
2024.06.27 이런 리스트에 다음과 같은 출력을 하고 싶다고 가정한다. scores = [ {'name':'영수','score':70}, {'name':'영희','score':65}, {'name':'기찬','score':75}, {'name':'희수','score':23}, {'name':'서경','score':99}, {'name':'미주','score':100}, {'name':'병태','score':32} ] for s in scores: name = s['name'] score = s['score'] print(name+'의 점수는 '+str(score)'+점입니다.') # 영수의 점수는 70점입니다. # 영희의 점수는 65점입니다. # 기찬의 점수는 75점입니다. # 희수의 점수는 23점..
2024.06.27 오늘은! 오전엔 아티클 분석하고 코드카타 풀면서 진도를 따라 잡았다.! sql이 익숙해질 쯤 python이 날 다시 괴롭히러 오는 군...^ㅠ^ 💡Tuple ( )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다른 점이 '불변 자료형' 리스트처럼 리스트 내의 값을 추가나 교체가 불가 리스트 안에 딕셔너리를 넣었던 것처럼, 튜플로 딕셔너리를 비슷하게 만들어 사용해야 할 때 많이 쓰임fruits = ('딸기', '사과', '포도') print(fruits) # '딸기', '사과', '포도'a_dict = [('bob','24'),('john','29'),('smith','30')] 💡set ( ) 리스트 중에 중복을 제거하여 출력 교집합/합집합/차집합도 구할 수 있음 a = [1,2,3,4,5,3,4,2,1,2,..